논문 발간 및 투고 규정
제1조 정규 발행
- 『통일인문학』은 연 4회 정규 발행을 한다.
- 정규 발행 일자는 매년 3월 31일, 6월 30일, 9월 30일, 12월 31일로 한다.
- 원고 접수 마감은 매년 2월 20일, 5월 20일, 8월 20일, 11월 20일로 한다.
제2조 원고의 분량
- 원고의 분량은 참고문헌을 포함하여 200자 원고지 100~150매로 하되, 서평은 원고지 30매 내외로 한다.
- 원고 분량이 각주와 참고문헌을 포함하여 150매를 넘을 때는 초과된 원고지 1매 당 2,000원의 추가 편집 및 인쇄비를 부과하기로 한다. 또한 원고 분량 150~200매 내 일 경우 편집위원회에서 적절한 분량으로 조절할 것을 권고할 수 있으며, 200매가 넘는 경우는 원칙상 싣지 않는다.
제3조 논문심사비 및 게재료
- 논문 투고 시 심사비 6만원(2만원×3인)을 납부한다.
- 논문 게재료의 경우 일반논문 10만원, 연구비 지원을 받는 논문일(기획논문 포함) 경우 교내연구비 지원논문 20만원, 외부연구비 지원논문 30만원의 게재료를 납부한다.
제4조 투고자격 및 기준
- 투고자의 자격은 석사학위 소지자 이상 혹은 그에 상응하는 전문가로 한다.
- 동일한 투고자의 연속 2회 투고(기획논문은 제외)는 원칙상 불허한다.
- 투고논문은 타 학술지 혹은 단행본으로 제출되지 않은 미출판 논문이어야 한다. 유사한 논문을 이중으로 게재 신청하는 것을 금한다.
- 투고자의 경우 저작권 활용 동의와 관련된 양식을 제출하여야 한다. 이때 저작권(복제권 및 전송권)은 게재가 확정된 논문에 한하며, 온라인 출판에 한하여 건국대 인문학연구원에 양도되는 저자의 권리 이전을 포함한다.
- 투고자는 ① 투고논문, ② 투고 신청서, ③ 저작권 활용 동의서, ④ 연구윤리자기점검표 등을 제출하여야 접수가 가능하다.
- 온라인논문투고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반드시 시스템 상의 저작권 활용 관련 내용에 동의하고, 연구윤리서약에 동의하여야 하며, 기타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서류를 업로드하여야 접수가 가능하다.
- 온라인논문투고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투고자의 논문 접수를 위한 필수 제출 서류는 시스템 상 동의와 업로드로 대체한다.
제5조 원고 작성 양식
- 원고 전체 체제
- 원고의 전체 체제는 한글제목, 투고자명, 소속 및 지위, 국문초록, 국문주제어, 본문, 참고문헌, 영문제목, 영문이름, 영문초록, 영문주제어의 순으로 작성한다.
- 별지에 투고자 성명의 국/영문 표기, 소속과 지위, 주소, 연락처 및 이메일주소를 작성하여 첨부하도록 한다.
- 투고자는 투고자 이름의 오른쪽 위에 별표 첨자를 붙이고 각주 란에 다음과 같은 세부 사항을 표기한다.
대상별 표시할 사항 안내 대상 표시할 사항 대학
소속대학 소속 교수(전임/비전임) 00대학/ 교수 대학 소속 강사 00대학/ 강사 대학 소속 학생 00대학/ 학생 초중등
학교
소속대학 소속 박사후연구원 00대학/ 박사후 연구원 초중등학교 소속 학생 00학교/ 학생 초중등학교 소속 교사 00학교/ 교사 기타 기타 기관 소속 소속 / 직위 소속/직위가 없는 경우 성명 - 투고 논문의 저자가 2인 이상인 경우에는 반드시 제1저자와 공동저자, 교신저자 등을 구분하여 밝힌다.
- 투고자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투고 논문을 [한글]로 작성한다. 단, 인명이나 지명 또는 혼동하기 쉬운 단어의 경우 ( )안에 한자나 외국어를 병기한다. 한문이나 외국어 등 원문을 인용할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 투고자의 성명, 논문 제목은 국문 및 영어로 표기함을 원칙으로 한다. 그밖의 사항은 일반적인 관례에 따른다.
- 각주는 출전의 표기, 본문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 관련된 논의의 소개가 필요한 경우에 한하며 가능한 짧게 한다. 200자 원고지 1장을 초과하는 길이의 각주는 본문 중에 편입시키도록 노력한다.
- 참고문헌은 본문이 끝난 다음에 작성하며 그 형식은 아래 5번 참고문헌 작성 요령을 참고한다.
- 국문·영문초록 및 주제어
- 외국어 초록은 영문초록을 원칙으로 한다.
- 국문초록의 분량은 최소 200자 원고지 3매 이상으로 작성하며 최대 200자 원고지 4매 이하로 제한한다.
- 국문초록과 영문초록은 논문 내용을 포괄적으로 서술하는 한편, 논문의 요지를 전체적이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영문초록은 국문초록과 동일한 내용으로 작성한다.
- 국문초록과 영문초록은 제목, 저자명, 초록 내용, 주제어(Key Words)의 순서로 작성한다.
- 국문초록과 영문초록에는 각각 주제어(Key Words)를 5개 이상 명시한다.⑥영문초록의 경우 원어민의 감수를 장려하며, 편집위원회에서 검토 후 수정을 요구할 수 있다.
- 본문 작성
- 장, 절, 항은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하여, 장은 1, 절은 1.1., 항은 1.1.1. 목은 ①로 표기한다. 순서는 1.→1.1.→1.1.1.→①과 같다.
- 표와 그림은 <표 1>, <그림 1>과 같은 형식으로 일련번호를 지정하여 상단에 표기하며, 출처를 밝히고자 할 때에는 하단에 출처를 표기한다.
- 본문 및 각주와 관련된 편집 형식은 아래의 6번을 참고한다.
- 각주 작성(출전 표기)
- 각주는 외각주를 원칙으로 하며, 표기순서는 다음과 같다. 예시는 ‘5.참고문헌 작성’의 표기순서를 따른다.
- 논문:저자명, 논문명, 잡지명 권(집)-호(권), 발행기관, 발행연도, 쪽수.
- 저서 및 번역서:저자명, (번역자명), 저서명, 출판사, 발행연도, 쪽수.
- 편저 : 저자명, 논문명, 편저자명, 편서명, 출판사, 발행연도, 쪽수.
- 영문저서 : 저자명, 저서명, 출판사, 발행연도, 쪽수.
- 정기간행물(일간지, 주간지, 월간지) : (저자명), 기사제목, 간행물명, 발행일자, 쪽수(인터넷 사이트 주소. 검색일 : 0000. 00. 00.).
- 그 외 인터넷자료 : 저자명(단체), 제목(인터넷주소, 검색일 : 0000. 00. 00.).
- 저자가 2인 이상일 경우 쉼표(,)가 아니라 가운뎃점(・)으로 연결한다.
- 여러 권의 저서나 논문들을 함께 표기할 때는 단락을 바꾸지 않고 세미콜론(;)으로 연결한다. 세미콜론을 찍을 경우, 쪽수 뒤 마침표는 생략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정원섭, 「자유주의 정치철학과 복지」, 『통일인문학논총』 56,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박일용,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집문당, 1993.
- 각주에서 쪽수 표기는 한글 논문 및 저서는 ‘쪽’으로, 영문 논문 및 저서는 ‘p.(pp.)’로, 독일 논문 및 저서는 ‘s.’로 하며, 쪽수 사이는 ‘~(물결표시)’로 표기한다. 예를 들어, 2~5쪽., pp.2~5., s.2~5.
- 각주에서 앞에 인용한 자료를 뒤에서 다시 인용할 경우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앞의 책’, ‘앞의 논문’, ‘위의 책’, ‘위의 논문’, ‘전게서’, ‘상게서’, ‘op. cit’, ‘Ibid’ 등의 표기를 금지하고, 출처를 그대로 표기한다.
- 각주에서 참고문헌을 직접 인용시, 직접 인용하는 내용은 “ ” (큰따옴표)에 넣는다.
- 각주는 외각주를 원칙으로 하며, 표기순서는 다음과 같다. 예시는 ‘5.참고문헌 작성’의 표기순서를 따른다.
- 참고문헌 작성
- 참고문헌을 구비하되, 완벽한 서지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 참고문헌에는 본문과 각주에서 언급된 모든 문헌의 자세한 문헌정보를 제시한다. 단, 본문과 각주에서 언급되지 않은 문헌은 포함시키지 않는다.
- 참고문헌의 수록순서는 국한문 문헌 다음에 외국문헌을 싣되, 각각 저자 이름의 가나다와 알파벳 순서로 기재한다.
- 참고문헌 표기방식은 동양어권 논문은 「」, 저서 및 학술지는 『』, 서양어권 논문은 “ ”, 저서는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 참고문헌의 표기순서는 다음과 같다.
- 논문:저자명, 논문명, 잡지명 권(집)번호-호(권)번호, 발행기관, 발행연도.(권(집) 번호와 호(권) 번호는 사이에 ‘-’(하이픈)을 넣어 구분한다. 또한 ‘2월호’, ‘봄호’ 등은 그대로 표기한다. 또한 권(집)번호가 없는 경우 호(권)번호만을 표기한다.)
- 저서:저자명, 번역자명, 저서명, 출판사, 발행연도.
- 편저 : 저자명, 논문명, 편저자명, 편서명, 출판사, 발행연도, 쪽수.
- 예시
(동양어권 논문)
ㆍ정원섭, 「자유주의 정치철학과 복지」, 『통일인문학논총』 56,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ㆍ엄성원, 「교양으로서 현대시 교육 방안 연구」, 『교양교육연구』 5-1, 한국교양교육학회, 2011, 15쪽.
ㆍ소현숙, 「전쟁고아들이 겪은 전후」, 『한국근현대사연구』 84-봄호, 한국근현대사학회, 2018, 324~325쪽.
(동양어권 저서) 박일용,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집문당, 1993.
(서양어권 논문) J. E. Meade, “Efficiency, Equality and the Ownership of Property”, Liberty, Equality and Efficiency(이탤릭체), The Macmillan Press Ltd, 1993.
(서양어권 저서) R. Nozick, Anarchy, State and Utopia(이탤릭체), New York: Basic Books, 1974.
(번역서) 알랭 바디우·슬라보예 지젝 외, 김상운·양창렬·홍철기 옮김, 『민주주의는 죽었는가?』, 도서출판 난장, 2010.
(편저) 이동기, 「분단시기 서독과 통일 과정의 ‘탈민족’ 담론과 정치」, 이종석 외, 『포스트 통일, 민족적 연대를 꿈꾸다』, 한국문화사, 2016.
- 정기간행물(일간지, 주간지, 월간지)의 경우는 (필자명), 기사제목, 간행물명, 발행일자, 게재쪽수 순으로 표기한다. 예를 들어, (필자명), <기사제목>, ≪건대신문≫, 2005. 4. 1., 11쪽.
- 투고 원고는 다음 편집 형식에 맞추도록 한다.
- 용지크기:A4(210×297mm)
- 용지여백:위쪽/머리말 17/10, 안쪽(왼쪽)/바깥쪽(오른쪽) 29/28, 꼬리말/아래쪽 13/21
- 글자모양:바탕, 크기10.3(각주 8.5)
- 문단모양:왼/오른쪽 0, 들여쓰기 10
- 줄간격:175%
제6조 투고 주의사항
- 원고접수마감일을 넘긴 논문은 투고에서 원칙상 제외하되, 편집위원회가 원고접수마감일을 연장할 경우 연장된 기일 내에 들어온 논문에 대해서는 투고로 인정한다.
- 투고 규정을 따르지 않은 논문에 대해서는 편집위원회에서 수정을 요구하거나 심사 및 게재를 유보할 수 있다.
- 투고 논문은 본 편집위원회에서 주관하는 소정의 심사과정을 거쳐 게재 여부를 결정한다.
- 논문 투고 시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온라인논문투고시스템(https://www.dbpiaone.com/kuhri)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위 시스템 사용이 불가한 상황인 경우 편집위원회의 승인을 거쳐 전자우편 메일 계정(kuuhe@hanmail.net)을 이용할 수 있다.
부칙
- 본 논문 발간 및 투고규정은 2013년 1월 10일부터 시행한다.
- 1차 개정된 논문 발간 및 투고규정은 2019년 12월 20일부터 시행한다.
- 2차 개정된 논문 발간 및 투고규정은 2020년 7월 1일부터 시행한다.
- 3차 개정된 논문 발간 및 투고규정은 2021년 7월 1일부터 시행한다.